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연동
- katalon 비교
- js 자동완성
- CSTS 폭포수 모델
- 최대공약수 예제
- 톰캣 실시간 로그
- 테스트 자동화
- 피보나치함수 예제
- 국세청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방식
- katalon xpath
- 재귀함수 예제
- 한국투자증권 양도세 신고
- 주식 양도세 신고방법
- katalon 자동화
-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
- katalon
- 피보나치 예제
- Katalon Recorder 사용법
- 해외증권 양도세 한국투자증권
- bfs 미로탐색 java
- 피보나치함수
- tomcat log
- 홈택스 해외주식 양도세
- 재귀 예제
- oracle group by
- katalon 사용법
- javascript 자동완성
- java.sql.SQLSyntaxErrorException
- recursion example
- 한국투자증권 해외주식 양도세
- Today
- Total
목록2024/09 (17)
엄지월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jXkE/btsJ9kAJDVS/oPNh2izOPBsDMafdbkAQe1/img.png)
AWS Linux 1 버전에서 HTTPS를 무료로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로 Let's Encrypt를 사용하여 SSL 인증서를 발급 받는다. EPEL 리포지토리 활성화:sudo yum install epel-releaseCertbot 설치sudo yum install certbotSSL 인증서 발급Certbot이 인증서를 발급받으면, 발급된 인증서와 비공개 키는 /etc/letsencrypt/live/api.datecourse.net/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다음 파일이 포함됩니다:- fullchain.pem: 전체 인증서 체인 - privkey.pem: 비공개 키sudo certbot certonly --standalone -d yourdomain.com -d www.you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lSXG/btsJITBP3qC/6HOZRY5iBYdsbsyezte6z1/img.png)
아래와 같이 jenkins에게 웹훅을 날리는 경우에 No valid crumb was included in the request 에러가 나는 경우가 발생했다.curl -X POST http:///job//build?token= Jenkins에서는 보안상 바로 호출이 안되기 때문에 CRUMB key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그래서 기존에 아래와 같이 했던 부분을 - name: Trigger Jenkins Build run: | curl -X POST http://${{ secrets.JENKINS_URL }}/job/travel-backend/build?token=${{ secrets.JENKINS_TOKEN }} Crumb를 json으로 받아서 build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o8Cs/btsJHXrodOM/ZrhwHVRNA4tk2eW89XQ1lk/img.png)
자동배포와 같이 Jenkins에 트리거를 주고 싶은 경우, Jenkins의 Token이 필요하다.이 경우, 아래와 같이 이동해서 토큰을 발급 받으면 된다. (http://jenkins_url/user/travel/configure) 발급 받은 토큰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curl -X POST http:///job//build?token=
설명최소 금액을 구하는 문제이다.고민이 됐었지만, 6으로 나눠서 가장 많이 갯수를 채우고 + 나머지 1로 가장 많이 갯수를 채우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으로 나눈값과 + 나머지를 혼합하는 케이스만 처음에 제출했었는데 틀렸다.6으로만 하는게 가장 싼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당 케이스를 추가해서 제출했는데 틀렸다.1으로만 하는게 가장 싼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반례(1으로만 하는게 가장 싸다 2*12 = 24)12 220 415 224 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
설명간단하게 이중 포문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하려 했지만, 시간초과가 발생했다.투포인터를 사용해서 M보다 크면 end를 --해주고 M보다 작으면 start++을 해주었다.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import java.util.ArrayList;import java.util.Collections;import java.util.LinkedList;import java.util.List;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public cl..
설명plus 변수를 운영하면서 계속 몇자리를 더해줄지를 운영한다.if(i%digits ==0) 을 통해 10, 100, 1000일 때에 자리수인 plus 값을 더해준다. 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public class Main { // 1748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process(); } // 1~9 : 1 * 1 * 9 ..
설명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처음에는 PriorityQueue를 사용해서 계속 재정렬하려고 했지만, 좋지 않은 방법인듯했다.그래서 Map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순회하면서 +1을 해주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했다. 결국에 다시 한번 for문을 돌면서 마지막 topCnt인 이름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느릴줄 알았는데 다행히 100ms로 빠르게 속도가 나왔다.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import java.util.Array..
설명set에 모든 문자를 넣어둔다.다시 for문을 돌면서 aSet과 bSet에 있는 문자를 체크한다. (대칭 차집합 과정)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import java.util.HashSet;import java.util.Set;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public class Main { // 1269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설명PriorityQueue를 이용해서 정렬을 재정의 했다. 내림차순의 경우 Integer.compare(o2, o1)오름차순의 경우 Integer.compare(o1, o2)만약 같은 경우 다음 조건을 보도록 설정했다. 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import java.util.PriorityQueue;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public class Main { // 10825 public static void ..
설명2번째줄부터 map에 입력 받은 숫자를 넣고, 이미 있으면 +1씩 해준다. 4번째줄에서 입력 받으면서 바로 map에 있는 숫자를 출력해준다. 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import java.util.HashMap;import java.util.Map;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public class Main { // 10816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