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katalon 비교
- 재귀 예제
- tomcat log
- oracle group by
- 한국투자증권 양도세 신고
-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
- 피보나치함수 예제
- 해외증권 양도세 한국투자증권
- 홈택스 해외주식 양도세
- CSTS 폭포수 모델
- javascript 자동완성
- js 자동완성
- recursion example
- 피보나치 예제
- 최대공약수 예제
- 주식 양도세 신고방법
- katalon 자동화
- 재귀함수 예제
- 피보나치함수
- 국세청 해외주식 양도세 신고방식
- java.sql.SQLSyntaxErrorException
- bfs 미로탐색 java
- 한국투자증권 해외주식 양도세
- katalon 사용법
- katalon xpath
- git 연동
- 톰캣 실시간 로그
- katalon
- 테스트 자동화
- Katalon Recorder 사용법
- Today
- Total
목록Server&DevOps (52)
엄지월드
git cherry-pick이란 다른 브랜치에 있는 커밋을 선택적으로 내 브랜치에 적용시킬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git cheery-pick => Ex) git cherry-pick cb99c0b cfa1c0b, git cherry-pick cb99c0b
날짜 기간 구하기 SELECT * FROM log WHERE question_datetime between date('2019-11-21') and date('2019-11-27')+1 포함된 문자 구하기 SELECT* FROM log WHERE content LIKE "%내용%";
IP, DB 사용자 이름, DB 사용자 암호, 포트(외부 포트)를 입력 후 [열기]를 클릭하면 약간의 딜레이 후에 DB 접속이 된다. * 서버 자체적으로 외부 접속을 막아놓은 경우 아래 방법을 진행합니다. 1. 테이블 살펴보기 먼저, mysql에 들어가서 다음 방법을 이용해 접근 상태를 확인합니다. - mysql> use mysql; - mysql> select host, user, password from user; 출력된 정보를 확인해보면, localhost나 127.0.0.1만 등록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외부에서 접근이 되게 하려면, 따로 등록을 해줘야 합니다. 2. 권한 설정 하기 설정을 할 때, 특정 IP나 특정 IP대역만 허용을 하거나, 전체를 허용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 mysql 실행 # sudo service mysql start - mysql 접속 (처음 설치 시, 기본 비밀번호는 없음) # mysql -u root -p # use mysql; - 공통 계정 생성 # create user '계정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생성한 계정 조회 # select host, user from mysql.user; - 관리자 권한 부여 grant all privileges on *.* to '계정아이디'@'%'; flush privileges; - 계정 삭제 # delete from user where user='ejy1024'; - DB 생성 create database test_db;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World Wide Web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이다.HTTP 프로토콜을 의도에 맞게 정확히 활용하여 디자인하도록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 기준이 명확해지며, 의미적인 범용성을 지니므로 중간 계층의 컴포넌트들이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REST의 기본 원칙을 충실히 지킨 서비스 디자인을 “RESTful” 이라고 표현한다.REST에서 가장 중요하며 기본적인 규칙은 아래 두 가지이다.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로 표현한다.HTTP Method 사용의 예는 아래와 같다.VerbActionPathUsed forGETinde..
ubuntu에서 배포 후 오류가 생겼을 때 서버를 재시작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럴 경우엔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 tomcat 폴더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shutdown.sh이나 startup.sh을 입력하지 말고 tomcat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명령어에 바로 $ 뒤에 문장을 치면 된다. 톰캣 중지 : $ tomcat/bin/shutdown.sh 톰캣 시작 : $ tomcat/bin/startup.sh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클릭 부탁드립니다 😁
putty에서 tail -f /톰캣설치경로/logs/catalina.out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면 실시간으로 에러 로그가 출력된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클릭 부탁드립니다 😁
git stash pop 시도 시, 아래와 같이 needs merge, unable to refresh index 에러가 나오는 경우는, merge를 해줘야 한다. git stash pop help/C/scan-remote.page: needs merge unable to refresh index git log로 현재 최신 HEAD를 확인하고 HEAD의 commit 주소를 확인 후 merge를 해준다 git merge b8a34f55e56ac76bcfa7520d623327d25284819b 그리고 나서 merge된 데이터를 commit시켜준다. git commit -am "comment" 그래도 stash가 남아 있는 경우, git stash drop으로 날려주면 된다.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한번씩 클릭..
http://lhb0517.tistory.com/entry/Ubuntu-1604-%EC%9A%B0%EB%B6%84%ED%88%AC%EC%97%90%EC%84%9C-%ED%9C%A0%EC%8A%A4%ED%81%AC%EB%A1%A4-%EC%86%8D%EB%8F%84-%EB%B0%8F-5%EB%B2%84%ED%8A%BC-%EB%A7%88%EC%9A%B0%EC%8A%A4-%EC%84%A4%EC%A0%95-imwheel